안녕하세요 윤회장입니다.
오늘은 어제에 이어 i30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어제는 i30 1세대인 FD 모델과 FD의 파생모델인 i30cw 를 알아보았습니다. 그렇다면 다음 순서는 2세대 i30를 알아보아야겠죠?
i30 2세대 : 올뉴 i30 (All New i30 : 2011 ~ 2014년)
2011년 i30 FD는 상당한 성공을 거둔 뒤 마지막 연식변경을 끝으로 다음세대의 i30 를 위해 물러나게 되었습니다. 2세대 i30는 아반떼MD 플랫폼을 베이스로 2011년 10월 풀체인지가 되어 출시되었습니다.
디자인은 1세대 때 잠깐 언급했었는데 2세대에 들어와서 헥사고날 그릴이 적용되면서 패밀리룩을 형성하게 되었습니다. 전면부만 비교해 봤을때는 동일 플랫폼을 사용한 아반떼 MD와 매우 유사한 모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가장 큰 차이라고 한다면 당시 주간주행등(DRL)이 의무였던 유럽의 사양을 국내에서도 그대로 적용해 주었기 때문에 동급에서는 어떻게 보면 가장 큰 특징이지 않았을까 싶습니다. 국내 의무화는 2015년 7월 이후 의무화가 되었으니 상당히 빠른 적용이라고 볼 수 있겠죠?
2세대가 되면서 후면부에서도 많은 변화가 일어났는데요. 바로 리어램프가 세로형 배치에서 가로형 배치로 바뀌었다는 겁니다. 가로형 배치가 되면서 조금더 날렵한 인상을 주어 개인적으로는 1세대보다는 정말 많이 디자인적으로 좋아졌다는 생각이 듭니다. 거기에 LED 테일램프를 적용해 준 것도 대단한 부분이라고 볼 수 있겠죠. 참고로 유튜버 '멜론머스크' 님의 영상에서 보면 1세대 i30 의 후면은 애먼 엑센트 위트가 이어받았다고 합니다.
올뉴 i30로 풀체인지가 되면서 옵션사양을 대거 투입하였는데요. 여기서 가장 눈에 띄는 점은 파노라마 선루프를 장착할 수 있었다는 점 입니다. 해치백에 파노라마 선루프가 더해지니 개방감은 어마어마 했습니다.
또한 팝업식 후방카메라, 전차식파킹브레이크, 버튼식 스마트키, 좌우 독립식 공조장치, 자동주차보조시스템(SPAS), 2열에어밴와 같은 편의장치가 대거 투입되었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많은 편의사양과 멋진 디자인을 가지고도 아쉬운 부분이 있었는데요. 이것은 바로 파워트레인과 서스펜션이었습니다.
먼저 파워트레인은 1.6L 가솔린 엔진과 디젤엔진이 있었으며, 6단자동변속기 혹은 6단 수동변속기가 맞물렸습니다. 주력 모델이었던 1.6L 가솔린 엔진은 GDI 기술을 이용해 출력과 효율을 크게 끌어올렸으나 힘이 그렇게 좋지는 않았습니다. 그래도 전작 모델에 MPi 모델에 비하면 굉장히 좋아진 출력을 가졌으며, 1세대편에서 아쉽다고 말씀드렸던 4단 자동변속기에서 6단으로 업그레이드 되었으니 아쉬운 부분은 많이 해결되었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하지만 우리는 알죠...악명높은 GDi 엔진을....
i30역시 GDi 이슈에 피해갈 수 없었습니다. 이 당시 현대자동차 1.6 GDi 가솔린 엔진이 장착된 모든 차량은 엔진으로 인한 이슈가 있었으며, GDi 이슈에 대해서는 좀 나중에 리뷰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다음으로 서스펜션은 오히려 전작에 비해 다운그레이드가 되었다고 볼 수 있는 '토션빔' 이 장착되었습니다. 전작 FD에서는 멀티링크가 장착된 반면 올뉴 i30은 토션빔이 장착되어 아쉬울 수 밖에 없었습니다. 무조건적으로 토션빔이 나쁘다고 볼 수는 없겠지만 대체적으로 독립적인 움직임을 갖는 멀티링크에 토션빔이 비빌 수는 없다는 것이 지배적입니다. 이때부터 내수차별이 있었는지는 모르겠지만 유럽수출형에만 멀티링크를 달아준건 분명 아쉬운 부분.
2013년에는 연식변경이 되면서 약간의 변화가 있었는데요. 우선 트림이 정리되었습니다. 기본형(유니크)-고급형(PYL)-튜익스 크래용 - 튜익스 블랙라이트. 저는 튜익스가 옵션으로 알고 있었는데 트림으로 적용이 되었던 부분이더라구요. PYL 모델들만 봐 왔기 때문에 우선은 넘어가도록 하겟습니다.
2013년 차종에 꿀팁이 하나 있다면 깡통차를 저렴하게 구매하셔도 크루즈 컨트롤을 살릴 수가 있습니다. 아반떼 차량에서 많이 하던 튜닝(?)인데 핸들 리모콘 부품만 갈아끼우면 크루즈컨트롤이 활성화 됩니다. 아반떼 차량에서 정말 많이 시도했던 짓(?)인데 i30에도 동일하게 되어 있다고 하네요. 이는 아마 현대자동차의 원가절감을 하면서 트림별 옵션을 나누기위한 장치였을 것으로 추측됩니다.
더뉴 i30 (2014 ~ 2016)
2014년 12월 2세대 i30는 페이스리프트를 공개 했고 가장 큰 변화는 그릴의 변화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사진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더뉴 i30 역시 아반떼와 유사한 그릴을 사용하였습니다. 제가 생각하는 아반떼의 디자인의 정점 시절인 AD 시절의 범퍼와 거의 비슷하죠. 저는 i30 2세대를 구입하게 된다면 범퍼때문이라도 무조건 더뉴i30를 선택할 것 같습니다.
더뉴i30 으로 넘어오면서 GDI 가솔린엔진의 출력향상과 U2 디젤엔진의 개선이 이루어졌습니다. 유로6 대응을 위한 변화라고 생각되는데요. 이때부터 7단DCT가 장착되고 출력과 연비 모두 개선되었다고 합니다.
더뉴 i30가 국내시장에 나온것은 2015년 1월 21일 부터였고 MDPS 역시 개선하여 조향 응답성을 향상 시켰다고합니다.
오늘은 어제 1세대에 이어 i30 2세대 초기버전과 페이스리프트 버전까지 알아보았는데요. 한때 엔카매물을 뒤지던 떄가 있었던 모델로 더열심히 자료조사를 하려고 했는데 많이 부족했던 것 같습니다. 3세대는 더욱 자료정리를 하여 일목요연하게 알려드릴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1세대, 3세대 버전이 궁금하시다면 아래 링크로 들어오세요!
2023.12.20 - [윤회장의 자동차이야기/중고차이야기] - 조선의 골프를 알아보자
조선의 골프를 알아보자
안녕하세요 윤회장입니다. 오늘은 해치백의 무덤이라 불리는 대한민국에서 어렵게 어렵게 명맥을 이어가다 단종된 비운의 차! 하지만 중고차시장에서는 가성비로 이름을 알리고 있는 조선의
presidentyun.tistory.com
2024.01.03 - [윤회장의 자동차이야기/기타 자동차 리뷰] - i30의 마지막 세대_3세대 i30 PD
i30의 마지막 세대_3세대 i30 PD
2023.12.20 - [윤회장의 자동차이야기/중고차이야기] - 조선의 골프를 알아보자 조선의 골프를 알아보자 안녕하세요 윤회장입니다. 오늘은 해치백의 무덤이라 불리는 대한민국에서 어렵게 어렵게
presidentyun.tistory.com
아래에는 1세대부터 3세대까지 i30 중고차 관련되어 고질병이나 단점 등을 정리해 두었으니 중고차 구매하실때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2024.01.09 - [윤회장의 자동차이야기/중고차이야기] - 현대의 실수 중 하나 1세대 i30 (FD) 중고차를 파헤쳐 보자
현대의 실수 중 하나 1세대 i30 (FD) 중고차를 파헤쳐 보자
안녕하세요 윤회장입니다. 지금까지 i30 1세대부터 3세대까지 이 차량의 스토리를 알아보았습니다. 자세한 이야기가 궁금하시다면 아래 링크를 참고해 주시구요! 아래 글들에는 각 차량의 장단
presidentyun.tistory.com
2024.01.11 - [윤회장의 자동차이야기/중고차이야기] - 가장 많이 판매된 i30 2세대! i30GD 중고차 고질병에 대해 알아봅시다
가장 많이 판매된 i30 2세대! i30GD 중고차 고질병에 대해 알아봅시다
안녕하세요 윤회장입니다! 오늘은 어제에 이어 i30 에 중고차에 대해 알아 볼 건데요. 어제는 1세대를 알아보았고 오늘은 2세대인 i30 gd 를 알아보려고 합니다. 2세대는 전작인 FD 에 비해 다소 부
presidentyun.tistory.com
2024.01.15 - [윤회장의 자동차이야기/중고차이야기] - 완성된 조선의 골프 3세대 i30PD 중고차 파헤치기
완성된 조선의 골프 3세대 i30PD 중고차 파헤치기
안녕하세요 윤회장입니다! 드디어 i30 3세대 모델 중고차를 알아보게 되었습니다. i30 시리즈만으로 이번 글까지 총 6편의 글이 나오게 되었는데요. 완성된 조선의 골프 i30PD 를 보기 전에 i30의 역
presidentyun.tistory.com
'윤회장의 자동차생활 > 자동차 스토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i30의 마지막 세대_3세대 i30 PD (2) | 2024.01.03 |
---|---|
조선의 골프를 알아보자 (2) | 2023.12.20 |
[KG모빌리티(구 쌍용) 코란도 변천사에 대해 알아보자(feat. 코란도C 중고차) (0) | 2023.06.18 |